References: Do it! 코틀린 프로그래밍

String 자료형에 대해 알아봅니다.

 

 

1. 문자열 자료형 선언과 저장 방식.

 

문자열을 다음과 같이 선언 합니다.

var str1: String = "Hello"
var str2 = "World"
var str3 = "Hello"

위와같이 문자열을 선언 하면 실제 메모리엔 다음과 같이 저장됩니다.

Heap: StringPool[ (A1:Hello), (A2:World) ]

Stack: Address[ (A1: str1), (A2: str2), (A1: str3) ]

실제 str1과 str3이 바라보는 곳은 A1입니다.

따라서 str1 == str3의 결과는 true를 반환합니다.

 

 

2. 문자열 출력하기

 

변수의 값을 문자열에 입력하기 위해 $ 기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다음 코드를 봅시다.

var value = 100
var str = "value is $value"

str 변수를 초기화 하고 value의 값을 사용합니다. 따라서 str은 "value is 100"으로 초기화 됩니다.

 

만약 변수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계산 결과를 입력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

표현식을 사용하면 가능합니다. 표현식은 중괄호({})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다음 코드를 확인해 봅시다.

var value = 100
var str1 = "value is $value"
var str2 = "value +10 is ${value +10}"

위의 코드에서 ${value +10}은 실제 value인 100에 10을 더한값. 즉 110이 할당됩니다.

따라서 str2는 "value +10 is 110"으로 초기화됩니다.

 

반응형

+ Recent posts